반응형
치과 진료는 비용 부담이 커서 많은 분들이 꺼리게 됩니다.
특히 의료급여 수급자는 필수적인 치료조차 망설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의료급여 수급자 치과 지원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와,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1. 의료급여 수급자란?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 대상
- 의료비를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 (1종, 2종 구분)
구분 | 대상 | 본인 부담 |
1종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등 | 외래 1,000원 / 입원 없음 |
2종 | 차상위계층 등 | 외래 15% / 입원 10% |
2. 치과 진료 지원 항목
✅ 건강보험 적용 항목은 의료급여 수급자도 동일하게 적용
✅ 본인부담금은 건강보험보다 훨씬 낮음
지원되는 주요 항목
- 충치 치료(레진, 아말감, 인레이 등)
→ 보험 적용 범위 내 재료 사용 시 지원 - 스케일링 (연 1회 보험 적용)
→ 1종 수급자 0원, 2종 소액 부담 - 치주질환 치료 (잇몸질환)
→ 잇몸치료, 발치, 봉합 등 지원 - 틀니 (완전틀니, 부분틀니)
→ 만 65세 이상 보험 기준 적용 - 임플란트 (만 65세 이상, 2개 한정)
→ 개당 본인부담률 30% (1종 기준 감면 가능)
3. 비급여 항목은 지원 안됨 ❌
지원 제외 항목
- 심미 목적의 레진, 세라믹 인레이, 골드 인레이
- 라미네이트, 미백, 교정치료(교정기 등)
- 비보험 재료 사용 시 본인 100% 부담
✅ 기본 치료 목적(충치, 잇몸질환 등) 치료만 지원 가능
4. 지원 절차 및 이용 방법
1️⃣ 의료급여증 지참 후 치과 방문
2️⃣ 보험 진료 가능 여부 사전 상담 (급여/비급여 항목 확인)
3️⃣ 본인부담금 발생 시 즉시 안내
4️⃣ 필수 치료 항목 우선 진행 후 추가 치료는 본인 선택
💡 일부 지자체는 별도 지원 사업 운영 (치과 진료비 지원 확대 등)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의료급여 수급자는 치과 치료 무료인가요?
→ 보험 적용 항목은 본인부담이 매우 낮지만, 비급여 항목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Q. 임플란트는 몇 개까지 지원되나요?
→ 만 65세 이상 2개까지 보험 적용 가능, 의료급여 수급자는 본인부담도 낮음.
Q. 치아교정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 미용 목적 교정은 비급여로 본인 부담입니다. 기능적 교정(구강기능 장애 시) 일부 지원 가능성 있음.
Q. 틀니는 어떻게 지원되나요?
→ 만 65세 이상은 보험 급여로 지원, 의료급여 수급자는 본인부담 없이 또는 소액 부담으로 가능.
6. 핵심 요약 ✅
- 충치, 잇몸치료, 틀니, 임플란트(2개) 등 보험 항목 지원
- 심미 목적 치료는 제외 (라미네이트, 미백 등)
- 1종, 2종에 따라 본인부담 차이 있음
- 지역별 추가 지원 여부 확인 필요
- 의료급여증 지참 후 치과 내원 필수
반응형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키울 때 지원금 5가지 중복지원 비교표! (0) | 2025.05.14 |
---|---|
2025 부모급여 소득기준, 금액,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5.14 |
1억으로 10억 집 사는 법, 지분형 모기지 우려도 있어요. (0) | 2025.05.12 |
제21대 대통령선거, 서울 강북구 사전투표소 (0) | 2025.05.11 |
청년내일저축계좌 39세, 가입 가능한가요? (1) | 2025.05.11 |